생활정보 끄적끄적/이런저런 정보

알뜰교통카드 K-패스로 전환하는 방법 후기 / K-패스 적립금액

달다. 2024. 3. 25. 23:14
반응형

내가 사용하고 있는 교통알뜰카드의 혜택에 대해서 저번에 포스팅을 한 적이 있다. 

 

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: 신청방법/적립방법/적립기준/지급시기

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한지 2년이 넘었다. 지하철로만 출퇴근을 하던 시절에는 지하철 정기권을 사용했으나, 버스를 갈아타게 되면서 알뜰교통카드로 갈아 탔다. 출퇴근만 했을 경우에는 한 달에

dalda25.tistory.com

그런데, 2024년 5월 1일부터 K-패스 사업이 시행됨에 따라 4월 30일부로 알뜰교통카드 사업이 종료된다고 한다. 알뜰교통카드 회원은 전환 동의를 거쳐 사용중인 카드와 계정 그대로 K-패스에서 이용할 수 있다. 

그렇다면, K-패스는 어떤 제도일까?

1. K-패스란?

K-패스는 이동거리에 관계없이 대중교통 이용금액에 따라 일반 20%, 청년 30%, 저소득 53.3%가 적립된다. 이 사업은 국비와 지방비로 운영되기 때문에 주민등록지상 주소지가 K-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여야 하며, 예산 상황에 따라 감액 또는 지급되지 않을 수 있다. (참여 지자체여야 하고, 감액 또는 미지급되는건 알뜰교통카드와 유사함)

- 알뜰교통카드에서 K-패스로 전환하는 기간은 2024년 6월 30일까지이다. 그러나, 5월 1일부터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4월 30일까지 회원 전환에 동의하여야 한다. 
- 전환 기간 종료 후에는 K-패스 신규 회원가입 절차를 별도로 거친 경우에만 혜택이 적용될 예정이다. 
- K-패스 신규 회원가입은 5월 1일부터 K-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가능하다.
- 회원전환이나 신규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하지 않을 경우, 적립금이 지원되지 않는다. 

2. 교통알뜰카드 K-패스로 전환하는 방법

K-패스로의 전환은 교통알뜰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가능하다. 홈페이지는 로그인해야 되서, 자동로그인이 되어 있는 앱에서 진행했다.

알뜰교통카드 앱 메뉴 > K패스를 누르면 'K패스전환' 메뉴가 나온다.

먼저 주소지 검증을 해야 되는데,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'주소지 검증'을 누르면 된다. 그 다음, 현재 교통알뜰카드로 쓰고 있는 카드번호를 입력하고 '카드유효성체크'를 누른다. 정보제공 동의만 다 체크하고 마지막으로 'K-패스 전환 동의'를 누르면 완료된다. 

K-패스 회원 전환이 완료되면 알뜰교통카드 계정 그대로, 5월 1일부터 K-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로그인할 수 있다. 

나의 경우에는 한달 교통비가 6만 5천원 내외인데, 알뜰교통카드로 만원 정도 캐시백 받고 있다. 따라서 실질적으로 교통비에 쓰이는 금액은 5만원대라고 볼 수 있다. 그래서 기후동행카드가 나왔을 때도, 나는 교통알뜰카드가 이득이기 때문에 바꾸지 않았다. K-패스도 일반인은 20% 적립된다고 하니, 알뜰교통카드의 캐시백 금액과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. 

탄소중립 실천포인트제 제도

 

탄소중립 실천포인트제 제도소개/참여방법/참여기업(feat.스타벅스)

오늘은 탄소중립 실천포인트에 대해서 얘기해보고자 한다. 1. 탄소중립포인트란? 탄소중립 생활 실천문화 확산을 위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친환경 활동을 했을 경우, 이용실적에 따라 인센티브

dalda25.tistory.com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