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가 사용하고 있는 교통알뜰카드의 혜택에 대해서 저번에 포스팅을 한 적이 있다.
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: 신청방법/적립방법/적립기준/지급시기
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한지 2년이 넘었다. 지하철로만 출퇴근을 하던 시절에는 지하철 정기권을 사용했으나, 버스를 갈아타게 되면서 알뜰교통카드로 갈아 탔다. 출퇴근만 했을 경우에는 한 달에
dalda25.tistory.com
그런데, 2024년 5월 1일부터 K-패스 사업이 시행됨에 따라 4월 30일부로 알뜰교통카드 사업이 종료된다고 한다. 알뜰교통카드 회원은 전환 동의를 거쳐 사용중인 카드와 계정 그대로 K-패스에서 이용할 수 있다.
그렇다면, K-패스는 어떤 제도일까?
1. K-패스란?
K-패스는 이동거리에 관계없이 대중교통 이용금액에 따라 일반 20%, 청년 30%, 저소득 53.3%가 적립된다. 이 사업은 국비와 지방비로 운영되기 때문에 주민등록지상 주소지가 K-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여야 하며, 예산 상황에 따라 감액 또는 지급되지 않을 수 있다. (참여 지자체여야 하고, 감액 또는 미지급되는건 알뜰교통카드와 유사함)
- 알뜰교통카드에서 K-패스로 전환하는 기간은 2024년 6월 30일까지이다. 그러나, 5월 1일부터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4월 30일까지 회원 전환에 동의하여야 한다.
- 전환 기간 종료 후에는 K-패스 신규 회원가입 절차를 별도로 거친 경우에만 혜택이 적용될 예정이다.
- K-패스 신규 회원가입은 5월 1일부터 K-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가능하다.
- 회원전환이나 신규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하지 않을 경우, 적립금이 지원되지 않는다.
2. 교통알뜰카드 K-패스로 전환하는 방법
K-패스로의 전환은 교통알뜰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가능하다. 홈페이지는 로그인해야 되서, 자동로그인이 되어 있는 앱에서 진행했다.
알뜰교통카드 앱 메뉴 > K패스를 누르면 'K패스전환' 메뉴가 나온다.
먼저 주소지 검증을 해야 되는데,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'주소지 검증'을 누르면 된다. 그 다음, 현재 교통알뜰카드로 쓰고 있는 카드번호를 입력하고 '카드유효성체크'를 누른다. 정보제공 동의만 다 체크하고 마지막으로 'K-패스 전환 동의'를 누르면 완료된다.
K-패스 회원 전환이 완료되면 알뜰교통카드 계정 그대로, 5월 1일부터 K-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로그인할 수 있다.
나의 경우에는 한달 교통비가 6만 5천원 내외인데, 알뜰교통카드로 만원 정도 캐시백 받고 있다. 따라서 실질적으로 교통비에 쓰이는 금액은 5만원대라고 볼 수 있다. 그래서 기후동행카드가 나왔을 때도, 나는 교통알뜰카드가 이득이기 때문에 바꾸지 않았다. K-패스도 일반인은 20% 적립된다고 하니, 알뜰교통카드의 캐시백 금액과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.
▼탄소중립 실천포인트제 제도
탄소중립 실천포인트제 제도소개/참여방법/참여기업(feat.스타벅스)
오늘은 탄소중립 실천포인트에 대해서 얘기해보고자 한다. 1. 탄소중립포인트란? 탄소중립 생활 실천문화 확산을 위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친환경 활동을 했을 경우, 이용실적에 따라 인센티브
dalda25.tistory.com
'생활정보 끄적끄적 > 이런저런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걷기앱] 서울 시민 손목닥터9988 / 서울 직장인 가능 / 워치 없어도 가능 (1) | 2024.04.03 |
---|---|
파리바게뜨/던킨/파스쿠찌 기프티콘 저렴하게 구매하는 방법 (1) | 2024.03.28 |
프롬비 히터팬 회전형 전기 온풍기 FC189R 사용 후기 / 전기요금 (3) | 2024.01.04 |
신세계상품권→SSG머니→G마켓 스마일캐시로 전환하는 방법 (0) | 2023.11.10 |
실업급여 조기재취업수당 조건 / 신청방법 후기 (0) | 2023.09.27 |